본문 바로가기

The Others/경제용어정리

금융시장

반응형

금융시장은 경제주체들이 금융상품 거래를 통하여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고 여유자금을 운용하는 조직화된 장소를 말하는데 금융상품 만기를 기준으로 단기금융시장과 자본시장으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에 금융상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환시장과 파생금융상품시장을 별도 구분하기도 한다.


단기금융시장은 단기자금의 수요자와 공급자간 수급불균형을 조절하기 위하여 통상 만기 1년 이내의 금융상품이 거래되는 시장이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단기금융시장으로 콜시장, 기업어음시장, 양도성예금증서시장, 환매조건부채권매매시장, 통화안정증권시장, 표지어음시장 등이 있다.


자본시장은 장기자금의 조달수단인 주식, 채권이 발행되고 유통되는 시장으로서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으로 구분된다. 주식시장 중 유통시장은 상장주식이 거래되는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과 비상장주식이 거래되는 제3시장으로 구분된다. 채권시장은 만기 1년 이상 장기채권이 발행되고 유통되는 시장이다. 채권시장 중 유통시장은 상장채권이 거래되는 장내시장(유가증권시장)과 비상장채권을 포함하는 모든 채권이 거래되는 장외시장으로 구분된다. 자본시장에는 최근 기업 및 금융기관의 자금조달수단으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자산유동화증권시장도 포함된다. 동 시장은 부동산, 매출채권, 주택저당채권 등과 같이 유동성이 낮은 자산을 기초로 발행되는 자산유동화증권(ABS; Asset-Backed Securities)이 거래되는 시장이다.


외환시장이란 외환의 수요자와 공급자간에 외환거래가 정기적 또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시장을 가리킨다. 외환시장은 일반고객과 외국환은행간 외환거래가 이루어지는 대고객 시장과 외국환은행간 외환거래가 이루어지는 은행간 시장으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매매기준율이 은행간 시장에서 결정됨에 따라 일반적으로 외환시장은 은행간 시장을 의미한다.


파생금융상품시장은 기초금융자산의 가치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파생금융상품이 거래되는 시장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파생금융상품시장에는 주가지수선물시장, 주가지수옵션시장, 금리선물시장, 미국달러선물시장, 이자율스왑시장, 통화스왑시장 등이 있다.


우리나라 금융시장의 구조

한편 우리나라 금융시장의 규모는 경제성장, 경제주체들의 자금조달 및 운용기법 개선, 자본시장 육성 및 대외개방정책, 금융·외환위기 이후 금융하부구조의 정비 등으로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 2005년 6월말 기준으로 단기금융시장과 자본시장을 합한 우리나라 금융시장의 규모는 총 1,469조원으로 1990년말 172조원의 8.5배에 달하고 있다. 금융시장 규모의 GDP 대비 비율도 1990년 0.92에서 2005년 6월말 1.89로 높아졌다. 우리나라 금융시장의 규모가 이처럼 확대되었지만 선진국에 비해서는 여전히 영세한 편이다.

우리나라 금융시장 규모 추이
(기말 기준)

(조원)

1980 1990 2000 2005 2006. 6
단기금융시장 1.5 44.3 138.8 212.7 219.1
자본시장주1) 5.1 114.0 614.2 1,416.8 1,427.4
금융시장 6.6 158.3 753.0 1,629.6 1,646.6
금융시장/GDP (%) 17.0 84.8 130.1 202.0 194.2
  • 주1) 채권의 경우 상장 채권 기준(단, 364일물 이하 통안증권 제외), 주식의 경우 한국증권선물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 상장주식의 시가총액
  • 자료:한국은행, 증권선물거래소
반응형

'The Others > 경제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급결제제도의 정의  (0) 2009.02.08
금융제도의 개요  (0) 2009.02.08
금융제도의 의의  (0) 2009.02.08
경기조절정책(business adjustment policy)  (0) 2009.02.08
경기적 실업(cyclical unemployment)  (0) 2009.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