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RICH ASSETS67

[리치에셋교육] 2014년 교육 공지 리치에셋 게임을 배우고 싶으세요? 2014년 2월부터 매주 토요일 리치에셋 게임을 즐기며 인생 계획 세워 보지 않으시겠어요?2014년 리치에셋 게임 교육 및 인생설계 강의 일시 : 2014년 2월 첫째주 부터 매주 토요일(1PM~5PM) 장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1640 마포비즈니스 센터 5층 501호 주차 걱정 말고 오세요. 토요일은 주차 무료 입니다. 수강정원 : 8명 (추가 인원은 다음주로) 대화의 시간이 많습니다. 당일 신청은 안 받습니다. 오신분들과 충분히 소통하기 위해서 입니다. 수강료 : 인 당 10,000원(다과비 및 기타 비용 명목으로 받습니다.) 입금처 : 국민은행 예금주/고명 (강사 통장) 813-24-0160-867 교육신청방법 - master@richasset.kr 이메일.. 2014. 2. 6.
[자동차튜닝] 국토교통부 자동차튜닝 전면 대폭 완화 국토교통부가 2014년 1월 7일 자로 자동차 관리법을 개정·공포했습니다. 이번 개정안의 핵심은 내년 1월부터 튜닝부품 인증제 및 대체부품 성능·품질인증제를 도입하고 정비요금을 공개한다는 것으로 그간 엄격히 규제되어 온 자동차 튜닝에 대한 일부 규제 완화가 포함되어 있어 자동차 마니아들에게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2015년에는 과연 어디까지 튜닝이 가능해질까요? 그 전에 우선 튜닝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세 가지의 자동차 튜닝 아마 튜닝자동차라고 하면 미국 헐리우드 영화 속 화려한 튜닝 자동차를 떠올리실 텐데요, 사실 자동차 튜닝은 외관을 바꾸는 것만을 뜻하지 않습니다. 소유자의 개성과 취향에 따라 자동차의 성능을 향상하거나 외관을 바꾸기 위해서 자동차의 구조나 장치 일부를 변경하거나, 부착물 등을 추가하.. 2014. 1. 22.
[리치에셋] 당신의 꿈이 무엇입니까? 램프의 요정 지니가 나와 당신에게 묻습니다. 저는 당신의 소원을 한가지 들어 드릴 수 있습니다. 당신의 소원은 무엇입니까? 다른 사람들이 아니고 바로 여러분께, 아니 배지방에게 물어본다면 과연 어떨까? 배지방은 그 순간 머릿속에 엄청난 천둥번개가 몰아치면서 수퍼컴퓨터보다도 더욱 빠르게 많은 가능성을 놓고 고민하게 될것입니다. 그럼, 여러분께 다시 한번 질문드립니다. 당신에게서 소중한 것을 하나 준다면 제가 당신의 소원을 들어 드리겠습니다. 위 질문과 내용이 다르죠. 기브앤테이크입니다. 아마 앞선 질문에 대한 고민보다 조금은 차분하게 고민을 하는 여러분을 느낄 것입니다. 마지막, 저를 위해 당신의 무엇(구체적으로)을 요구합니다. 단, 저는 그 댓가로 당신의 소원을 무엇이든 한가지 들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14. 1. 20.
2014 리치에셋 파트너즈 회사소개서 리치에셋 파트너즈 회사 소개서 2014. 1. 1.
[스포츠칸] 돈 굴리는 방법, 게임으로 배운다 돈 굴리는 방법, 게임으로 배운다 재무컨설턴트(Financial Consultant)출신이 금융 보드 게임 ‘리치에셋’ 개발 13~16일 킨텍스 '노후금융박람회'서 런칭쇼 국내 최초로 재무컨설턴트가 직접 개발한 금융게임이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금융 교육 보드게임인 ‘리치에셋’은 전직 재무컨설턴트 출신인 리치에셋(www.richasset.kr)의 고명대표가 개발한 게임으로 경제교육에 취약한 청소년에게 쉽고 재미있게 경제를 알려준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사람들에게 게임을 통하여 경제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자산의 증가를 위해 간접투자의 방법과 중요성을 알려줄 수 있다”는 고명 대표는 “나아가 재산 증식의 방법을 게임을 통해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고 가족의 재무목표와 리스크를 경험할 수 있어 유.. 2009. 8. 7.
[연합뉴스] 서울시장 청년 창업가에게 듣다. - 오세훈 서울시장과 신영섭 마포구청장, 강승규 국회의원에게 리치에셋 소개 중인 고명 사장 - (서울=연합뉴스) 14일 오전 강북청년창업센터(옛 마포구청) 개소식에 참석한오세훈 서울시장이 신영섭 마포구청장, 강승규 국회의원과 함께 센터를 순방하여,청소년 경제금융교육용 게임 컨텐츠를 개발하는 고명사장으로부터 금융 교육게임리치에셋을 설명 듣고 있다. 2009. 7. 27.
반응형